반응형

 

Stopwatch

사용이 편한 스톱워치 앱 추천

큰 버튼 스탑워치 - 누르기 편한 스탑워치

 

스톱워치는 보통

초 단위 시간을 측정할때 사용하죠

 

뛰는 사람을 보면서

혹은 상황을 보면서 시작 정지를 해야 하는데

항상 화면을 보며 집중하여

시작 / 정지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삼성 갤럭시 시리즈 기본 스톱워치(Stopwatch) 기능

 

위의 사진처럼 시작버튼은 한쪽에 작게 있죠.

잘못하면 타이머로 넘어가고

사용이 불편합니다.

 

 

 

화면 아무곳이나 눌러도 되는 스톱워치입니다.

파란 부분 터치로 시작되고

다시 터치하면 정지하는

아주 단순한 스톱워치입니다.

 

달리기 측정, 공장 작업 택타임 (Tact time / cycle time) 측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구글 스토어

큰 버튼 스탑워치 링크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companyname.bigbuttonstopwatch&pli=1

반응형
반응형

1. 회로도

  • PBS_1이 ON되면 T1 타이머가 동작한다.
  • T1이 ON이 되었기에 GL은 ON이 된다.
  • T1 타이머가 ON되면 T2 타이머 카운팅이 시작된다.
  • T2가 ON되면 R_1이 ON되면서 GL이 OFF된다.

 

 

2. PLC

  • PBS_1과 TMR_1을 연결하여 3초 기준으로 연결한다.
  • TMR_1로 TMR_2를 카운팅 시작한다.
  • TMR_1이 ON되었기에 GL은 ON된다.
  • TMR_2가 3초가 되면 R_1이 ON되면서 GL은 OFF된다.

 

 

 

 

 

카카오 뷰에서 devFox를 추가하고 My뷰에서 모아보세요. 카톡 세 번째 뷰탭 - 카카오 뷰 바로가기 http://pf.kakao.com/_CWxgTxj

반응형
반응형

1. 회로도

  • 처음 시작시 RL은 ON된다. (T1이 b접점)
  • PBS_1이 ON되면 타이머 T1이 일정 시간 지연 후 ON된다.
  • PBS_1이 순간 ON되면 T1 접점이 ON되면서 자기 유지가 된다.
  • T1이 ON되면 지연시간 후 RL이 OFF, GL이 ON된다. 

 

2. PLC

  •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RL은 ON상태가 된다.
  • PBS_1이 ON되면 TON명령어가 ON되면서 30 * 100ms동안 카운팅을 한다.
  • 3초 이후에 TMR_1이 ON되면서 GL이 ON된다. (TMR_1 자기 유지도 3초뒤 활성화)

 

 

 

 

 

카카오 뷰에서 devFox를 추가하고 My뷰에서 모아보세요. 카톡 세 번째 뷰탭 - 카카오 뷰 바로가기 http://pf.kakao.com/_CWxgTxj

반응형
반응형

1. 회로도

  • PBS_1과 PBS_2가 동시에 ON되어도 R_1은 ON된다.
    (R_1과 PBS_1은 직접 연결되어있다.)
  • PBS_1이 OFF상태이고 R_1이 ON으로 자기 유지상태인 경우 PBS_2가 ON되면 R_1은 OFF된다.

 

 

2. PLC

  • PBS_1과 PBS_2를 병렬로 연결한다.
  • PBS_1과 PBS_2가 동시에 ON되어도 PBS_1이 R_1과 직접 연결되어있어서 R_1은 ON된다.
  • PBS_1이 OFF상태에서 R_1이 ON되어 있는 상태(자기 유지 상태)인 경우 PBS_2가 ON되면 R_1이 OFF된다.
    (PBS_2가 b접점이기에 R_1의 자기 유지가 단선된다.

 

 

 

 

 

카카오 뷰에서 devFox를 추가하고 My뷰에서 모아보세요. 카톡 세 번째 뷰탭 - 카카오 뷰 바로가기 http://pf.kakao.com/_CWxgTxj

반응형
반응형

1. 회로도

  • 동작 우선 순위 회로는 스위치 1, 2, 3, 4중 동시에 눌렸을때 숫자가 낮을수록(1에 가까울수록) 먼저 ON된다.
  • PBS_1와 PBS_2가 동시에 ON되면 R_1이 ON되고 R_2는 OFF상태이다.
    (R_1이 b접점으로 연결되어있어서 R_2는 ON 조건이 성립할 수 없다. )
  • PBS_4가 ON 되어있어도 PBS_1이 ON된되면 R_4는 OFF되고 R_1이 ON된다.
    (R_1이 ON되어 b접점이기에 R_4가 OFF된다.)

 

 

2. PLC

  • PBS_1, 2, 3, 4를 각각 R_1, 2, 3, 4로 연결한다.
  • 각 출력을 위의 그림과 같이 b접점으로 연결한다.
  • 위의 그림을 보면 PBS_1이 ON되면 R_1 b접점 연결로 인해 R_2 ~ R_4까지의 연결이 단선된다. (하위 회로 차단)

 

 

 

 

 

카카오 뷰에서 devFox를 추가하고 My뷰에서 모아보세요. 카톡 세 번째 뷰탭 - 카카오 뷰 바로가기 http://pf.kakao.com/_CWxgTxj

반응형
반응형

1. 회로도

  • 다중 선행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도이다.
  • 앞선 선행 우선회로와 동일하나 R_4를 이용하여 한번에 제어한다.
  • PBS_4로 전체 OFF를 시킨다.

 

 

2. PLC

  • PBS_1, PBS_2, PBS_3과 R_1, R_2, R_3을 이용하여 ON 회로를 구성한다. (자기 유지 회로 구성)
  • PBS_4를 b접으로 연결하여 전체 릴레이의 OFF를 동작시킨다.
  • R_1, R_2, R_3중 하나가 ON되면 R_4는 ON이되면서 나머지 회로들에서 PBS의 신호가 연결되지 않는다.
  • R_4는 b접점으로 연결해야 한다.

 

 

 

 

 

카카오 뷰에서 devFox를 추가하고 My뷰에서 모아보세요. 카톡 세 번째 뷰탭 - 카카오 뷰 바로가기 http://pf.kakao.com/_CWxgTxj

반응형
반응형

1. 회로도

  • 푸시버튼스위치 PBS_1과 PBS_2가 모두 눌려야(ON이 되야) GL(초록 램프)가 동작하는 회로이다.
  • PBS_1, PBS_2가 모두 ON(1)이어야 하는 회로이기에 AND조건

 

 

2. PLC

  • PBS_1과 PBS_2를 각각 R_1과 R_2에 연결한다.
  • PBS_1에는 R_2의 b접점, PBS_2에는 R_1의 b접점을 직렬로 연결한다.
  • R_1이 ON되는 경우 PBS_2가 ON되어도 R_2는 ON될 수 없다. (R_1이 b접점으로 연결)
  • R_2가 ON되는 경우 PBS_1이 ON되어도 R_1은 ON될 수 없다. (R_2가 b접점으로 연결)
  • 먼저 눌러진 스위치의 동작만 ON되고 후행되는 스위치는 동작하지 않는 선행 동작 우선 회로가 완성된다.

 

 

 

 

 

카카오 뷰에서 devFox를 추가하고 My뷰에서 모아보세요. 카톡 세 번째 뷰탭 - 카카오 뷰 바로가기 http://pf.kakao.com/_CWxgTxj

반응형
반응형

1. 회로도

  • 2가지 위치에서 PBS_1, PBS_2를 이용해 R_1을 ON시킬 수 있는 회로이다.
  • R_1은 자기 유지 회로로 구성한다.
  • PBS_1, PBS_2, PBS_3이 동시에 ON되면 PBS_3의 b접점과 상관없이 R_1은 ON상태이다.
  • PBS_1 또는 PBS_2가 순간 ON되면 R_1은 자기유지로 계속 ON 상태를 유지한다.
  • 실제 현장 구성시 PBS_1, PBS_2를 각기 다른 장소에 배치하여 2개소에서 ON이 가능하다.

 

 

2. PLC

  • PBS_1, PBS_2, R_1은 모두 병렬로 구성한다.
  • PBS_3은 b점점으로 R_1과 직렬로 연결하여 R_1의 자기 유지 OFF동작용으로 사용한다.

 

 

 

 

 

카카오 뷰에서 devFox를 추가하고 My뷰에서 모아보세요. 카톡 세 번째 뷰탭 - 카카오 뷰 바로가기 http://pf.kakao.com/_CWxgTxj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