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문제

- 1008번 A / B (C#)  (https://www.acmicpc.net/problem/1008)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문제 포인트

  • 두 정수 A, B 입력받기
  • A / B 출력하기
  • 오차 10의 -9제곱 이하 (double형 사용)

 

반응형

 

3. 전체 코드

using System;

namespace B5_AB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빈칸을 기준으로 두 값을 받아야 함으로 Split()을 이용하여 배열로 받음
            string[] in_str = Console.ReadLine().Split();

            // 위에서 받은 값이 문자열(string)이기에 double.Parse()로 계산 가능하게 바꿔준다
            // int.Parse()로 계산할 경우 결과값도 int가 되어 소수점이 짤리게된다
            // float.Parse()로 계산할 경우 자릿수 부족으로 인하여(float으 표현범위 부족) 10의 -9제곱이란 정확도를 맞출 수 없다
            Console.WriteLine(double.Parse(in_str[0]) / double.Parse(in_str[1]));
        }
    }
}
반응형
반응형

 

1. 문제

    문제번호 문제 타이틀 (https://www.acmicpc.net/problem/14916)

 

춘향이는 편의점 카운터에서 일한다.

손님이 2원짜리와 5원짜리로만 거스름돈을 달라고 한다. 2원짜리 동전과 5원짜리 동전은 무한정 많이 가지고 있다. 동전의 개수가 최소가 되도록 거슬러 주어야 한다. 거스름돈이 n인 경우, 최소 동전의 개수가 몇 개인지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거스름돈이 15원이면 5원짜리 3개를, 거스름돈이 14원이면 5원짜리 2개와 2원짜리 2개로 총 4개를, 거스름돈이 13원이면 5원짜리 1개와 2원짜리 4개로 총 5개를 주어야 동전의 개수가 최소가 된다.

 

 

2. 문제 포인트

  • 동전은 2원, 5원만 있다
  • 동전의 최소 개수를 구한다

 

반응형

 

3. 접근법

  • 이전에 했던 거스름돈 문제와의 차이점
    - 이전문제 : https://hostramus.tistory.com/148
    - 동전이 5원과 2원 2가지다 (point. 5원은 2원의 배수가 아니다)
    - 13원인경우 5 * 1 + 2 * 4 = 13이다 (5원동전을 무조건 먼저 사용해선 안된다)
       ex 1. 13원 = 5 * 1 + 2 * 4  (잔액이 10보다 크지만 5원동전 2개 불가)
       ex 1. 21원 = 5 * 3 + 2 * 3  (잔액이 10보다 크지만 5원동전 4개 불가)
  • 2원의 개수를 0개부터 한개씩 늘려가면서 계산한다.

 

4. 결과 코드

import sys

a = int(sys.stdin.readline().strip())

cnt = 0

while a>0:
    # 입력받은 a값이 5의 배수면 5원짜리로 거슬러주는것이 가장 작은 동전수
    if a % 5 == 0:
        cnt += a // 5
        break
    # 5원짜리로 안될때 2원짜리를 한개씩 늘려가며 최소 개수를 찾기
    else:
        a -= 2
        cnt += 1
        if a < 0:
            cnt = -1

print(cnt)

# 14916번 거스름돈
# https://www.acmicpc.net/problem/14916
반응형
반응형

1. 문제

- 10998번 A x B (C#)  (https://www.acmicpc.net/problem/10998)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문제 포인트

  • 두 정수 A, B 입력 받기
  • A x B 계산값 출력

 

반응형

 

 

3. 전체 코드

using System;

namespace B5_AxB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빈칸을 기준으로 두 값을 받아야 함으로 Split()을 이용하여 배열로 받음
            string[] in_str = Console.ReadLine().Split();

            // 위에서 받은 값이 문자열(string)이기에 int.Parse()로 계산 가능하게 바꿔준다
            Console.WriteLine(int.Parse(in_str[0]) * int.Parse(in_str[1]));
        }
    }
}

 

 

 

반응형
반응형

1. 문제

- 1001번 A-B (C#)  (https://www.acmicpc.net/problem/1001)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문제 포인트

  • 두 정수 입력 받기 (A, B)
  • A - B 계산하여 출력

 

 

반응형

 

3. 전체 코드

using System;

namespace B5_A_B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빈칸을 기준으로 두 값을 받아야 함으로 Split()을 이용하여 배열로 받음
            string[] in_str = Console.ReadLine().Split();

            // 위에서 받은 값이 문자열(string)이기에 int.Parse()로 계산 가능하게 바꿔준다
            Console.WriteLine(int.Parse(in_str[0]) - int.Parse(in_str[1]));
        }
    }
}

 

 

 

반응형
반응형

1. 문제

- 1000번 A+B (C#) (https://www.acmicpc.net/problem/1000)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문제 포인트

  • 두 정수 입력 받기 (Console.ReadLine())
  • 두 정수 더하여 출력하기

 

 

반응형

 

3. 전체 코드

using System;

namespace B5_A_B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빈칸을 기준으로 두 값을 받아야 함으로 Split()을 이용하여 배열로 받음
            string[] in_str = Console.ReadLine().Split();

            // 위에서 받은 값이 문자열(string)이기에 int.Parse()로 계산 가능하게 바꿔준다
            Console.WriteLine(int.Parse(in_str[0]) + int.Parse(in_str[1]));
        }
    }
}

 

 

 

반응형
반응형

1. 문제

- 10718번 We love kriii (C#)

 

ACM-ICPC 인터넷 예선, Regional, 그리고 World Finals까지 이미 2회씩 진출해버린 kriii는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왠지 모르게 올해에도 파주 World Finals 준비 캠프에 참여했다.

대회를 뜰 줄 모르는 지박령 kriii를 위해서 격려의 문구를 출력해주자.

 

두 줄에 걸쳐 "강한친구 대한육군"을 한 줄에 한 번씩 출력한다.

 

2. 문제 포인트

  • 콘솔창에 "강한친구 대한육군"을 두줄에 걸쳐 두번 출력

 

 

반응형

 

3. 전체 코드

using System;

namespace B5_WeLoveKriii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콘솔창에 "강한친구 대한육군" 출력
            Console.WriteLine("강한친구 대한육군");
            Console.WriteLine("강한친구 대한육군");
        }
    }
}

 

 

 

반응형
반응형

1. 문제

  2557번 Hello World!  (https://www.acmicpc.net/problem/2557)

 

Hello World!를 출력하시오.

 

 

2. 문제 포인트

  • 콘솔창에 "Hello World!" 출력

 

 

반응형

 

3. 전체 코드

using System;

namespace B5_HelloWorld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콘솔창에 텍스트 출력
            Console.WriteLine("Hello World!");
        }
    }
}

 

 

 

반응형
반응형

 

1. 문제

    17224번 APC는 왜 서브태스크 대회가 되었을까?  (https://www.acmicpc.net/problem/17224)

 

2019년 올해도 어김없이 아주대학교 프로그래밍 경시대회(Ajou Programming Contest, APC)가 열렸다! 올해 새롭게 APC의 총감독을 맡게 된 준표는 대회 출제 과정 중 큰 고민에 빠졌다. APC에 참가하는 참가자들이 너무 다양해 대회 문제 난이도 설정이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

APC는 프로그래밍 대회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과 전공생이 아닌 학생들도 대거 참가하기 때문에 모두가 풀거나 도전할 수 있는 난이도 커브를 갖춰야 한다. 또한 '경인지역 6개대학 연합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shake!'에 참가할 학교 대표 10인을 선발하기 위한 대표 선발전으로서의 변별력도 갖추어야 하며, 외부인들이 따로 참가할 수 있는 Open Contest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소위 '고인물'들에게 한 시간도 안되어 대회가 정복당하는 일도 막고 싶다. 여기에 APC 출제진인 준표, 만영, 현정, 준서는 문제를 준비하는 데 무척 고생을 했기 때문에 참가자들이 모든 문제를 한번씩은 읽어주었으면 하는 소망도 가지고 있다.

욕심 그득한 준표는 고민끝에 이 수많은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한가지 해결책을 제안했다. 하나의 문제를 제한조건을 통해 쉬운 버전과 어려운 버전으로 나누어 쉬운 버전만 맞더라도 부분점수를 주는 서브태스크 문제로 대회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 문제를 쉬운 버전의 난이도순으로 배치하려 한다.

위와 같이 문제를 준비하면 프로그래밍 대회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앞에서부터 따라가면서 도전해볼 수 있어 쉬운 문제를 찾는 데 시간을 쓰지 않을 수 있고, 어려운 버전으로 학교 대표 선발을 위한 변별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모든 문제가 읽히길 바라는 출제진의 소망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림1> 출제중 평가한 문제들의 난이도 예시 (예제2)

<!-- 아래 이야기는 팩션입니다. -->

현정이는 APC에 한 번이라도 나가보고 싶다는 소망이 있다. 하지만 이 소망은 여태까지 단 한 번도, 그리고 앞으로도 이루어질 리 없기 때문에 현정이가 입버릇처럼 하게 된 말이 있는데...

  • 현정 : 아~~ 나도 APC 참가만 했으면 상금 받는 건데~~~~~
  • 준표 : ... 그건 아닌 것 같은데?

현정이의 근거 없는 자신감이 눈꼴신 준표는 출제 중에 평가한 문제 난이도를 통해 현정이의 예상 점수를 알려주고 현정이가 현실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한다.

현정이는 L 만큼의 역량을 가지고 있어 L보다 작거나 같은 난이도의 문제를 풀 수 있다. 또한 현정이는 코딩이 느리기 때문에 대회 시간이 부족해 K개보다 많은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어떤 문제에 대해 쉬운 버전을 해결한다면 100점을 얻고, 어려운 버전을 해결한다면 여기에 40점을 더 받아 140점을 얻게 된다. 어려운 버전을 해결하면 쉬운 버전도 같이 풀리게 되므로, 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계산한다.

현정이가 APC에 참가했다면 최대 몇점을 얻을 수 있었을지 알려주자.

 

 

2. 문제 포인트

  • 1행에 "문제 개수, 역량, 풀이 가능한 문제 수" 를 입력 받음
  • 2행부터는 쉬운버전 난이도 + 어려운 버전 난이도를 입력 받음
  • 현정이가 받을 수 있는 최고 점수를 계산

 

반응형

 

3. 접근법

  • 어려운 난이도까지 풀 수있는 문제(140점 짜리)를 먼저 푼다
    - 어려운문제까지 풀어도 문제 풀이 시간은 1로 계산된다
    - 다시말해 입력을 받을때마다 점수를 계산하면 최대값을 얻을 수 없다
  • ex. 풀수 있는 문제 수(K) < 풀 수 있는 140점 문제 수
          - 위와 같은 경우 140 * K점수가 최대 점수가 된다

 

4. 결과 코드

import sys

a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sub = 0
basic = 0

# 문제수(a[0])만큼 반복
for _ in range(a[0]):
    b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 전체 문제 중 어려운버전까지 풀 수 있는 문제 수 계산
    # 최종 합계에 점수를 더해버리면 안된다.
    if a[1] >= b[1]:
        sub += 1
    # 전체 문제 중 쉬운 버전만 풀 수 있는 문제 수 계산
    elif a[1] >= b[0]:
        basic += 1

# 어려운 문제를 푼 수를 점수로 환산
# '풀 수 있는 문제 수' vs '풀이 가능한 총 문제 수'중 작은 값 선택
## ex. 3문제 풀이 가능 시간, 5개의 어려운 문제 풀이 가능 능력인 경우 어려운 문제 3개만 풀이가 가능(시간 제한)
score = 140 * min(sub, a[2])

# 위에서 어려운 문제를 다 푼뒤 더 풀 시간이 있는 경우 쉬운 문제 풀이
## 풀이 가능 숫자 * 100점을 계산
if a[2] - sub > 0:
    score += 100 * min(basic, (a[2] - sub))

print(score)


# https://www.acmicpc.net/problem/17224
반응형

+ Recent posts